본문 바로가기

품질 인사이트10

테스트 너머의 QA 엔지니어링 집필 후기 안녕하세요! QA 엔지니어 김명관입니다.제 주위에 계시거나 강의를 통해 만나는 많은 QA 엔지니어, 테스트 엔지니어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공통된 고민과 오해를 하고 계신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제게 따로 고민을 터놓으시는 분들께 제 나름대로의 QA 엔지니어로서 가지고 있는 소신에 대해 이야기 해 드리곤 했어요. 그러나 공통된 고민들을 듣다 보니 '내 주위에 있는 분들만 이런 고민을 하는게 아닐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저도 QA 엔지니어로서 아주 긴 시간을 지내오지 않았고 모든 도메인에 존재하는 QA 엔지니어의 깊이와 전문성을 알지는 못합니다. 다만 QA 엔지니어로서 성장에 고민이 있거나 직무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한 분들께 제가 알고있는, 제가 믿고있는 이야기를 해 드리고 싶었.. 2024. 12. 11.
LLM 기반 체크리스트 생성 툴 공유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QA팀 김명관 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원티드의 AI 플랫폼인 LaaS를 이용해 요구사항으로부터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던 경험을 공유해 드렸습니다. 그 이후 사내에서 관련 내용을 공유드렸고 해당 제품을 담당해주시는 PO님과 미팅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프롬프트를 더욱 고도화했고 링크만 있으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습니다. 그 결과 이전보다 훨씬 유효한 체크포인트를 잘 만들어주게 되어 체크리스트와 TC 작성에 많은 시간을 아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Wanted LaaS원티드의 LaaS(LLM as a Service)는 고객이 자신의 비즈니스에 적합한 대규모 언어 모델을 손쉽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 2024. 11. 4.
QA 직무 오프라인 강의 진행 후기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QA팀 김명관입니다.올해 초 모 대기업의 직무전환 대상자를 위한 QA 직무 오프라인 강의를 제안받아 준비하고있었습니다. 해당 기업과는 안타깝게도 끝내 일정이 맞지 않아 강의가 미뤄진 상태이지만 같은 강의를 원하는 다른 기업의 연락을 받아 오프라인 강의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그 전에 몇 번은 부담된다는 이유로 거절하였지만 왠지 이번에는 흥미가 생기더라구요 처음 진행해본 QA 직무 오프라인 강의에 대한 후기입니다.강의자료 만들기강의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정해야 했기에 문의를 주신 기업과 여러번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해당 기업은 왜 QA 직무에 대한 강의를 원하는지, 현재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와 같은 내용부터 해당 기업의 상황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드.. 2024. 6. 1.
B2B 제품에 사용성 테스트를 도입하기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QA팀 김명관 입니다. 저는 작년 12월부터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대시보드 제품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시보드 제품로 옮겨와서 느낀 점이 많았지만 그 중에서도 ‘이건 좀 개선 해보고 싶다. ‘ 라고 생각한 것은 제품의 사용성이었습니다. 전에 UX/UI에 대해 조사하게 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지 않았을까 싶네요. https://ambitious-molecule-2ed.notion.site/2920c3368a1c4e738cf92adca301c220?pvs=4 개인적으로는 사용성에 대한 생각을 대시보드 제품으로 옮기고 나서 하게 된 것이 유저 분들의 피드백이나 개선 요청이 적극적이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도 연차가 쌓이면서 자연스레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게 되기도 했구.. 2024. 1. 29.
단점으로 성장하기 - 셀프회고 지금 회사로 이직을 하는 과정에서 정말 많은 고민과 난관들이 있었지만 그중에 가장 뼈저리게 후회했던 것은 바로 내가 한 일을 글로 정리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스프린트가 끝날 때마다 가지는 회고미팅에서도 지난 2~3주 간의 일이 기억나지 않아 “내가 무슨 일이 있었지?” 하며 캘린더를 뒤적이곤 하는데, 한 회사에서 있었던 일들을 기억에만 의존하는 것은 너무 힘든 일일 겁니다. 이직을하고, 내 커리어를 다시 진행하게 된다면 반드시 내가 했던 일들을 정리해둬야겠다. 라고 생각했고 원티드랩에 합류한 2021년 6월부터 저는 제 업무를 기록해왔습니다. 처음에는 원래 목적대로 그저 내가 어떤 업무를 했는지를 기록하는 데 그쳤지만 점점 그 기록에서도 보완할 점들이 보였습니다. 여러번의 양식과 내용을 고쳐가며 현재의 .. 2024. 1. 29.
유저가 나를 보게 하는 방법(UX 심리학)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QA팀 김명관 입니다. 2022년 말 즈음 문득 스쿼드에서 UX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데 문득 ‘내가 제시하는 UX 개선점이 과연 옳은 개선 방향일까?’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직접 UX에 대해 공부하고 좋은 사례들을 알게 된다면 기획 리뷰, 디자인 리뷰 시간에 좀 더 건설적인 시선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UX에 대해 공부해 보기로 했습니다.이번에는 “UX 심리학” 이라는 책을 구매해서 읽게 되었고, 책의 내용 중 QA 업무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제한적인 시야외부 정보가 유저의 신경계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먼저 유저의 시야에 들어와야 합니다. 유저의 시야를 벗어나거나 주변시에 머무르는 콘텐츠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어요.인간의 시야는 .. 2024. 1. 29.
테스트는 재미있으면 안되나요?? 우리 스쿼드의 Dev QA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QA팀 김명관 입니다. 원티드랩 에서는 2주 단위의 스프린트를 진행하며Dev QA라는 이름의 개발 환경 통합 테스트 기간을 갖고 있습니다. 개발에 참여한 모든 스쿼드 구성원이 참여하여 QA가 작성한 TC나 테스트 맵을 따라 테스트를 수행하고 스테이징 환경에 배포되기 전까지 최대한 버그를 잡아 수정함으로써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점검하죠. 2021년 12월에 UGC 스쿼드에 참여하게 된 후, 2022년 상반기에는 QA 프로세스를 다지고 Dev QA에서 버그를 최대한 찾아 내는 데에 집중했어요. 이 과정에서 Dev QA 방식에 대한 고민과 개선점이 보이기 시작했고 2022년 하반기에는 저의 고민을 해결해 보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 중 첫 번째로 [스쿼드 구.. 2024. 1. 29.
웹 접근성, 준수 되었나요? 웹 표준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가 없이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 특정 브라우저나 사용자의 이용 환경과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을 방지해 모든 사용자들에게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동일한 웹 콘텐츠를 제공. 웹 접근성? W3C에서 정의하는 웹 표준의 하나.(웹 표준, 웹 호환성, 웹 접근성) 누구나 웹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사용자 뿐 아니라 핸디캡을 지니고 있는 장애인, 노인도 포함! 웹 접근성 준수는 법적 의무 사항 입니다. - 웹 접근성 “인증” 은 의무 사항이 아니지만, “준수” 는 의무 사항 입니다. - 시정 명령 불 이행 시 과태료 부과됨. 법률 근거 국가 정보화 기본 법 제 32조(장애인, 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보장) ① 국가 기관 .. 2024. 1. 29.
왜 하필 우리는 왼쪽부터 보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Wantedlab QA팀 김명관 입니다. 얼마 전 재미있는 현상에 대한 글을 읽었고, 공유 드리고 싶어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이 문서는 훌륭하신 분들이 연구를 해봤더니 “이런 현상이 있더라!” 라는 글입니다. 이것에 대해서 왜 이런 현상이 발생 하는가? 에 대해서 얘기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현상이 있는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라는 관점 에서의 내용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우리는 책을 어느 쪽부터 읽나요? 우리는 당연히 책의 내용이 왼쪽부터 쓰여있으니까 왼쪽부터 읽는 것이 당연하죠. 당연한 거고 자연스러운 거지만, 지금 이 시간에는 이걸 낯설게 느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은 글씨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고 있습.. 2024. 1. 29.
Fiddler로 API의 응답 데이터를 조작해 UI를 검증하기 안녕하세요 원티드랩 QA팀 김명관입니다. Fiddler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http, https 패킷을 캡쳐할 수 있는 툴입니다. Fiddler로 캡쳐한 패킷을 이용해 API의 응답 데이터 조작과 분석, 모니터링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API를 반복하여 요청하거나, 네트워크 속도를 조절 할 수도 있고 테스트 데이터를 임의로 조작하여 UI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Fiddler를 이용해 API의 응답 데이터를 조작하며 UI를 검증하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Fiddler의 기본적인 구조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왼쪽 영역은 Fiddler 실행 후 캡쳐된 HTTP, HTTPS 리스트가 쌓이는 곳으로 여기서 원하는 패킷을 선택하여 우측 메뉴에서 조작, 분석, 모.. 2024. 1. 29.